(사)금융과행복네트워크, 미래에셋 은퇴연구소 ㈜한국금융복지연구소, (사)시니어금융교육협의회 공동주관

 '초고령사회대비포럼, 리스타트 KOREA'은 4일 오후 1시30분 국회의원회관 제8간담회의실에서 '초고령사회 대비, 액티브 에이징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1차-일자리 관련(7월 4일), 2차-금융/경제 재무관련(8월 20일), 3차-건강/관계 관련(9월 예정) 시리즈로 진행합니다.

 이번 토론회는 (사)금융과행복네트워크, 미래에셋 은퇴연구소 ㈜한국금융복지연구소, (사)시니어금융교육협의회 등이 공동주관합니다.
 
 '초고령사회대비포럼, 리스타트 KOREA'은 "다가올 초고령사회에 대비하여 고령인구들의 일자리, 금융/경제, 건강, 관계의 융합적 측면을 균형있게 다룸으로서 두려움 없이 활기찬 고령생활에 대한 인식과 준비를 확산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발족되었습니다. 

 의원실에 따르면, 고령화문제는 올 해 G20에서 핵심 의제로 다루는 등 전 세계적인 화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65년에는 전체인구의 46.1%가 고령인구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아직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이 초고령사회를 어떻게 대비하고 준비할 것인가는 개인적, 국가적으로도 매우 시급한 문제입니다.

*통계청 인구추계에 따른 대한민국 미래연표

 2019년 사망자수=출생자수
 2020년 예상 출생아 30만 명 2016년 40만 명)
 2023년 18세 인구 43만 명(대학 모집인원 50만 명)
 2025년 65세 이상 고령자 중 75세 이상 비율 41%
 2028년 90대 인구 50만 명
 2035년 여성 3명 중 1명이 65세 이상
 2040년 인구 4명 중 1명이 75세 이상
 2041년 화장장 부족
 2042년 국민연금 수지 적자
 2050년 인지증환자(치매환자) 286만 명
 2050년 전국 빈집 310만호
 2067년 중위연령 63세

고령화사회(인구의7%/2000년), 고령사회(인구의14%/2018년), 초고령사회(인구의20%/2026년)라 부릅니다. 

 고령화에서 고령으로 18년, 고령에서 초고령으로 8년 밖에 안 되는 이 속도는 전 세계에서 가장 빠릅니다. 

 란셋 저널의 2030년 기대수명은 여성의 경우 90.82세, 남성은 84.07세로 세계 1위입니다. 타임지는 ‘오늘 태어나는 아이는 142세까지 산다’고 커버페이지에 실었습니다.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올해 0.98명, 내년에는 0.85명으로 예상합니다. 이는 OECD 국가 중 꼴찌입니다. 우리사회는 역삼각형 목발사회가 되고, 고령화 속도는 더 빠르고, 더 오래 사는 사회가 됩니다. 

 노인 빈곤율과 노인 자살율은 세계 1위고 퇴직은 점점 빨리집니다. 공기업의 경우 평균 55세, 중소기업은 51세, 대기업은 49세에 통상 은퇴합니다. 은퇴 후 30, 40년은 더 살아야 합니다. 

 그래서 ‘퇴직 후 120,000시간(하루 11시간 여유시간 x 365일 x 30년)을 어떻게 보낼 것인가’를 설계해야 합니다.

 포럼에서는 그 첫 출발을 ‘즐겁게 일하는 삶을 위한 준비’(well-retiring 웰리타이어링과 일자리문제)라는 제목으로 ‘나이 드는 것은 아름답다, 나이 드는 것은 행복하다’는 새로운 초고령사회 문화 만들기를 시작합니다. 

 민병두 의원은 “인공지능, 블록체인, 빅데이터의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일자리는 어떻게 창출하는지, 초고령사회의 일자리 재편과 제도적 장치 등 다양하게 고민하는 시간이 될 것"이라며 "2,30대 청년부터 6,70대 고령층 모두가 진지하게 고민하여 각자의 인생을 다시 설계하고, 나아가 지자체와 범정부차원의 제도적 정책적 준비 및 컨트롤타워가 시급하다.” 고 강조했습니다.

저작권자 © 뉴스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