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이 22일 8·15 이산가족상봉행사 등 인도적 사안을 논의할 적십자회담을 개최하는데, 남측 대표단은 21일 오후 출발해 강원도 고성에서 하루를 묵은 뒤 22일 오전 동해선 육로를 통해 회담장인 금강산으로 향할 계획입니다.

-. 이번 회담에서 가장 중요한 의제는 남북 정상이 '4·27 판문점 선언'에서 합의한 8·15를 계기로 갖기로 한 이산가족상봉행사의 구체적인 일정과 상봉 규모 등을 정하는 일이라고요?

=. 이산가족 상봉행사가 8·15를 계기로 열린다면 2015년 10월 이후 3년만입니다. 정부 당국자는 "이산가족상봉행사는 판문점 선언에 담긴 사항이니 남북이 원만하게 합의하지 않겠느냐"고 말했습니다.

남측은 이에 더해 이산가족 문제의 더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전면적 생사확인과 서신교환, 고향 방문 등을 북측에 제안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산가족들의 고령화가 심각한 수준으로 진행된 점을 고려하면 한 번에 100명씩 만나는 지금의 상봉 방식으로는 해결이 요원하기 때문입니다.

-.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 말 현재 이산가족 등록자는 총 13만2천124명이며 이 중 7만5천234명이 사망했고, 5만6천890명만 생존해 있다죠?

=. 생존자 중 70세 이상이 전체의 85.6%인 4만8천703명에 이릅니다. 이들 중 상당수는 가족의 생사조차 알지 못하는 실정입니다. 통일부가 2016년 진행한 '이산가족 실태조사'에 따르면, 이산가족 중 74.7%는 북한 내 가족의 생사를 확인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정부는 이미 북측과 전면적 생사확인에 합의할 때를 대비해 지난 11일부터 '남북 이산가족 전면적 생사확인'과 '고향 방문 및 영상편지 제작'에 참여할지를 묻는 수요 조사를 이산가족 전원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 그러나 북한이 우리 제안에 응할지는 불투명하다고요?

=. 남측은 과거에도 적십자회담 등의 계기에 북측에 이를 요구해왔지만, 북측의 소극적인 태도로 성사되지 못해왔습니다.

이 밖에 북한에 억류된 김정욱 선교사 등 우리 국민 6명의 석방 문제도 적십자회담 테이블에 오를 수 있습니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지난 1일 열린 고위급회담 종료 뒤 브리핑에서 "북측에서 억류자 문제와 관련해서 관련 기관에서 검토하고 있다는 설명을 했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 이후 진전된 소식이 들리지는 않고 있지만 '인도적 사안'을 논의하는 적십자회담에서 다뤄질 수 있는 의제라죠?

=. 반대로 북측도 지난 2016년 중국 식당에서 일하다 집단 탈북한 종업원 12명의 송환 문제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북한은 줄곧 이들이 '납치됐다'고 주장해왔는데 최근 국내 한 방송에서 '기획 탈북' 의혹까지 제기돼 북한이 그냥 넘어가려 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일각에선 우리 억류자 송환 문제와 탈북종업원 북송 문제가 연계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내놓지만, 우리 정부는 "분리된 문제"라는 입장입니다. 아울러 우리 정부가 지난해 결정했지만 집행하지 못하고 있는 국제기구를 통한 대북 인도적 지원에 대한 의견이 오갈 가능성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 뉴스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